esesang91.com 정태홍목사

'왜 성경만으로 안 될까?'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할 때~
'삶의 의미와 통일성'을 알아야 할 때입니다~click

  | HOME | 상담&내적치유 | 다른사역들 | 경건훈련 | 성경적치유 | 정목사의생각 | 정목사의설교 | 사는얘기들 | 생활정보| 추천도서| 연락처Contact

회원등록 비번분실

의미와 통일성에 근거한
RBD Counseling
010-4934-0675

후원계좌

우체국
610923-
02-050497











전체방문 : 160,231
오늘방문 : 130
어제방문 : 107
전체글등록 : 11,207
오늘글등록 : 1
전체답변글 : 54
댓글및쪽글 : 1553
movement
현대
영성
[전체보기] [1]유기성_영성일기 [2]로렌스 [3] [4] [5] [6] [7] [8] [9] [시사자료] [방언] [88언론자료]
작성자 관리자 RPTBOOK 도서안내
작성일 2024-01-29 (월) 11:44
"읽기허용 레벨 3
ㆍ추천: 0  ㆍ조회: 23      
IP: 118.xxx.157
물총새에 불이 붙듯 서평 이종태 교수
물총새에 불이 붙듯 서평

이종태 교수의 서평이다. 

'목사들의 목사' 유진 피터슨의 마지막 선물
[서평] 유진 피터슨 <물총새에 불이 붙듯>(복있는사람)
기자명 이종태  승인 2018.06.29 16:04 

https://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8391

<물총새에 불이 붙듯 - 말씀으로 형성된 하나님의 길에 관한 대화> / 유진 피터슨 지음 / 양혜원 옮김 / 복있는사람 펴냄 / 644쪽 / 2만 8000원. 사진 제공 복있는사람
"유진 피터슨은 '목사'였다."

이것은 3년 6개월 전 몬태나주에 있는 그의 자택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마음속으로 적어 본 방문기의 첫 문장이다. 그랬다. 피터슨은 영성신학을 가르친 교수이기도 하고, 성경 번역자이기도 하고, 저술가이기도 하지만, 그는 자신이 해 온 모든 일을 언제나 "목사로서" 한 일들이라고 고백한다. 그날도 그랬다. <메시지>(복있는사람) 성경 한국어판 완역 기념 인터뷰를 위한 만남이었는데, 인터뷰 중에도, 또 인터뷰 전후 대화에서도, 그가 말할 때의 작은 떨림에서마저 느껴졌던 단어는, '영성'도 <메시지>도 그 무엇도 아닌 '목사'였다.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나는 생각했다. 목사 됨의 영광과 그 무게에 대하여 그처럼 눈빛을 반짝거리며 말하는 목사를 지금까지 만나 보지 못한 것 같다고.

그날 대화 중 피터슨은 아마도 자신의 마지막 저서가 될 것 같은 책의 원고를 며칠 전 출판사에 넘겼다고 했다. 미국에서 작년 5월 출간되었고 이번에 복있는사람 출판사에서 역간한 <물총새에 불이 붙듯>이 바로 그 책이다. '말씀으로 형성된 하나님의 길에 관한 대화'라는 부제가 달린 이 책은 피터슨이 1962년 개척하여 29년간 목회한 '그리스도우리왕장로교회' 강단에서 전한 설교들 가운데 마흔아홉 개를 선별하여 엮은 것으로, 일곱 세트에 각각 일곱 설교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진 피터슨의 '마지막' 책이 설교 모음집이라는 데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설교는 '목사'의 말이기 때문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 설교들은 '목사' 피터슨의 '마지막 말'(last words)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정말로 하고 싶었던 말들 말이다.


유진 피터슨과 이종태 교수. 사진 제공 이종태
유진 피터슨의 저작을 즐겨 읽어 온 독자라면, 이 책을 펼쳐 읽어 보고서 금세 알게 된다. 그동안 피터슨이 해 온 모든 말은 그의 이런 설교들로부터 흘러나온 것이고, 또 이런 설교들 속으로 녹아 들어가 있다는 사실 말이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피터슨의 영성에서 핵심 주제라 할 수 있는 '일치'(congruence)를 떠올릴 수 있다. 다시 말해, 그의 설교와 그의 신학은 '일치'한다. 그에게 설교는 신학함(theologieren)이었고, 그에게 신학은 영혼을 돌보는 일(care of the soul)이었다. 그의 신학과 설교의 일치는, 그가 추구한 더 큰 맥락의 일치, 존재와 일의 일치의 한 양상이다. 피터슨은 '목사는 하나님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어야 한다'고 믿었고, "하나님에 대한 말"인 신학을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말"로 바꾸는 것이 설교가 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피터슨의 설교는 그래서 '설교'가 아니다. "내게 설교하지 마!"라고 할 때의 그 '설교' 말이다. 그 '설교'는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하다. 훈계, 선동, 과시, 계몽, 세뇌의 말들, 겁주고 흥분시키는 웅변들, 그 뻔한 소리, 잔소리, 하나 마나 한 소리, 시시한 소리들 말이다. 무엇보다 피터슨의 설교는 우리를 '성서의 세계' 안으로 들이는 설교다. 그 "낯설고 새로운 세계" 속으로 말이다. 피터슨 목사는 많은 이가 성경을 '사랑'하도록 도왔다. 경이에서 비롯하는 사랑, '두렵고 떨림'이 따르는 사랑 말이다. 성서라는 그 드넓고 현묘한 세계에 들어가 본 사람은, 성서가 이 세상의 일부인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이 성서 세계의 일부라는 사실을 깨닫고 놀라게 된다. 피터슨 목사의 설교를 듣고 나와 보게 되는 세상은 얼마나 다른지! <물총새에 불이 붙듯>에 있는 설교들은 요즘의 흔한 설교들처럼 우리보고 달라지라고 닦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세상이 달리 보이게 만들어 준다. 성서의 세계 안으로 우리를 깊이 인도해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는, 세상이 달리 보일 때 비로소 진정으로 달라지기 시작한다.

책 제목 <물총새에 불이 붙듯>은 예수회 사제이자 시인이었던 제라드 맨리 홉킨스(1844~1889)의 시구다.

물총새에 불이 붙고, 잠자리 날개가 빛과 하나 되듯,
우물 안으로 굴러든 돌이 울리고,
켜진 현들이 저마다 말하고, 흔들리는 종이
자신의 소리를 널리 퍼뜨리듯,
모든 피조물은 한 가지 같은 일을 한다.
각자 내면에 거주하는 제 존재를 밖으로 내보낸다.
자기 스스로를 발현한다. 그것이 '나'라고 명시한다.
'내가 하는 것이 나이며, 그 때문에 내가 왔다'고 외친다.

더 있다. 의로우신 그분은 의를 행하고,
은혜도 지키시니 그 모든 행위가 은혜롭다.
하나님이 보시는 대로 하나님 앞에서 행하시는 그분,
그리스도. 그리스도는 수만 곳을 다니시며,
아름답게 노니시기 때문이다. 자기 눈이 아닌
사람들의 얼굴에 나타나는 아버지에게 아름답게. (18쪽)

_제라드 맨리 홉킨스, As Kingfishers Catch Fire, Dragonflies Draw Flame

"물총새에 불이 붙듯"은 가히 피터슨의 목회 일생과 영성 여정을 견인했다고 할 수 있는 시의 첫 구절로, 피터슨의 '마지막 말'의 제사(epigraph)로 더없이 딱 맞는 글귀다. 피터슨은 추구했다. 물총새가 날 때 제 빛깔―불붙은 듯한!―을 내고, 돌이 구르고 현이 켜지고 종이 울릴 때 각기 제소리를 내듯, 각 존재의 하는 일이 곧 그 존재의 발현인 경지, "일치"의 경지 말이다. 존재와 일의 일치를 추구했던 피터슨은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으로서 자신의 존재와 그가 목사로서 하는 일의 일치를 추구했다. 그는 믿는 대로 살고, 사는 대로 기도하고, 기도하는 대로 설교하고자 했다. "내가 하는 것이 나다"(What I do is me)라고 말할 수 있기를 소원했다.

홉킨스의 시는 "내가 하는 것이 나"인 경지는 곧 그리스도께서 내 안팎으로 "수만 곳을 다니시며/아름답게 노니시는" 경지라고 노래한다. 다시 말해, "그리스도가 내 안에, 내 안에 그리스도가 계시는" 경지인 것이다. <물총새에 불이 붙듯>은 무엇보다 우리 안에 이런 일치를 향한 소원을 불붙여 준다. 한 사람의 그리스도인으로서 나의 존재와 내가 하는 모든 일이, 나의 삶이, 내가 일을 하고 삶을 사는 '방식'이 일치하기를 갈망하게 된다. 설교를 듣고 우리가 가질 수 있게 되는 것들 중 이보다 좋은 것이 있을까.

<물총새에 불이 붙듯>은 '목사들의 목사'라 불리는 유진 피터슨의 진면목을 보여 준다. 그는 주일 아침 예배 한 시간이야말로 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이라고 믿었고, 29년간을 그렇게 그 믿음대로 목양하고 설교하며 살았던 목사였다. '목사'의 말을 들어 보자.

이종태 / 장로회신학대학교 초빙교수, <메시지>(복있는사람), <다윗: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IVP) 번역자.


 이 글이 얼마나 비기독교적인가?를 알아야만 한다.
유진 피터슨은 오랫동안 로마가톨릭 에큐메니탈 연구소에서 강의했다

  0
3500
윗글 김명혁 목사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법”
아래글 올해 한국교회 키워드 2위 ‘영성회복’… 1위는
번호 글제목 조회
188 88 피정, 하나님을 만나는 시간 11
187 88 토마스 머튼, 동양 종교의 영성으로 가득 찬 가톨릭 신부 12
186 88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에서 본 관상 기도 합동측 96회 총회 ‘관상기도 운동’ 연구논문.. 14
185 88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에게 배우는 수행의 지혜 16
184 88 달라스 윌라드의 책 "하나님 나라의 스캔들" 28
183 10 권명수교수 관상 기도의 이해와 실천 38
182 10 권명수 교수의 관상기도란 무엇인가? 33
181 10 정태홍 목사, “강영안, 권수경, 김순성 교수와 정현구, 안병만 목사는 학문의 자유를.. 43
180 10 정현구 목사는 학문적으로 논증하기 바란다 44
179 10 71회 총회 전에 게재된 "정태홍 목사의 무법적 신학 비판행위에 대하여"는 거짓되고 잘.. 45
178 10 김순성 교수의 고신영성의 특징과 개혁주의 신학적 조명과 평가 #현대영성 #고신영성 .. 39
177 김명혁 목사, 인터콥 비전캠프 선교 헌신자들에 메시지 30
176 김명혁 목사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법” 22
175 물총새에 불이 붙듯 서평 이종태 교수 23
174 올해 한국교회 키워드 2위 ‘영성회복’… 1위는 18
173 소크라테스에게 다이몬은 무엇인가? 24
172 88 샌드라 슈나이더스, '신비'와 '삶'의 교차점을 찾다 37
171 88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를 응용한 말씀묵상 침묵기도 41
170 88 틸리케의 <역사와 실존> 2 83
169 88 로잔운동 한국 본부(이재훈, 유기성 목사)는 로잔운동 속의 신사도 사상을 정직하게 인.. 45
12345678910

정목사의 설교듣기

대표전화 : 010-4934-0675 주소: 경남 거창군 가조면 마상리 460-1